최근에
자고 일어난 후
갑자기 어깨 등 쪽 근육이
아파서 움직이기가 힘들거나
담이 걸린 듯한 통증을
자주 경험하게 되었는데요
잠자는 자세가 잘못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어서
잠자는 자세도 바꾸어 보고
베개도 교체해 봤지만
통증이 나아지지가 않았고
파스 등을 사용하면서
시간이 며칠 지나면
괜찮아 졌다가 다시 재발하는
현상이 반복되곤 했는데요
해당 증상에 대해 찾아보니
근막 통증 증후군
이라는 질환과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어
글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근막통증 증후군은
국소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고
해당 근육이 뭉쳐져서 긴장된 상태에서
통증이 발생한 부위를 압박하게 되면
연관된 부위로 통증이 퍼져나가는
질환이라고 합니다
주로 운동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오랫동안 책상에서 바르지 않은 자세 유지,
반복적인 동작에 의한 근육 경직 등에 의해
뒷목이나 머리,
어깨, 허리 및 해당 주변 근육으로 통증이
퍼져나가게 되어
심한 아픔을 느끼게 되는데요
근골격계의 통증을 호소하는 분들의
대략 30~70% 정도가
근막통증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주로 뒷목이나 머리, 어깨 주변, 허리 근육에
잘 생긴다고 하고요.
해당 부위가 짓누르듯이 아프고
좀 쉬면 다시 좋아졌다가
스트레스, 과로 그리고 바르지 않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었을 경우
증상이 다시 나빠지게 됩니다
제 경우를 얘기하는 것 같네요 - -;
이 병은 특정 동작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한
해당 근육의 과도한 수축
그리고
그로 인한 국소 혈류 순장 장애로
근육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중풍이나 고혈압 등 뇌혈관계 이상과는 관계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머리 쪽에 통증이 있을 경우 뇌혈관계
질환이 있는 것이 아닌가 걱정이 될 수는 있을 것 같은데
신경계 질환은 없는지
전문의와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해당 근막통증증후군 증상이 있을 경우
먼저 아픈 부위의 반복적인 사용을 피해야 하고,
스트레스 관리를 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서
한 자세로 너무 오래 있는 것은 좋지 않지 않으니
피해야 하고
일하는 도중에 스트레칭 등으로 자주 몸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구요
또한
무엇보다 근육의 이완이 중요하기 때문에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따뜻한 찜질, 마사지, 물리치료 등을 받는 것도
증상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합니다
치료는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에
주사를 하는 주사 요법, 약물 요법과
물리 치료 등을 병행하게 된다고 하는데요
국소 부위 통증 등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방치하지 마시고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 진찰을 받아서
해당 증상에 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기닌 효능 효과 (0) | 2023.02.15 |
---|---|
알파리포산 (Alpha Lipoic Acid) 효능 에 대하여 (0) | 2020.06.23 |
코로나백신 은 내년말에나 가능한가요? (0) | 2020.06.21 |
작두콩차의 효능 에 대하여 (0) | 2020.06.20 |
깔라만시 효능에 대하여 (0) | 2020.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