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Only the person who has faith in himself is able to be faithful to others
건강

건강 정보 - 메니에르병 에 대하여

by 플로라love 2020. 5. 30.
반응형

 

 귀에서 ‘삐’, '웅'과 같은

소리가 나는 경험이 있으신가요?

 

귀속에서 무엇인가 울리는 듯한 현상,

주로 귀 안쪽이나 머리속에서 소리가 난다고

느껴지는 현상인데요.

 

대부분 사람들이 한번 정도는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으로 이명 현상이라고 합니다.

 

<출처: greenlife0100.com >

 

예전에 저도 비슷한 경험으로

귀 속에서 소리가 나는 듯한 현상과

약간의 어지러움도 같이 느껴져서

이비인후과를 찾은 경험이 있습니다

다행히 별 이상은 아니라고 해서

안심했었는데

 

정상적으로 생활을 하다가

갑자기 

무엇인가 귀에서 울리는 소리가 들리거나

어지러움증을 느낀다면

저도 그랬지만

누구나 

걱정과 동시에 무슨 큰 병의 조짐이

아닌가 놀랄 것 같습니다.

 

이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

일시적일 수도, 위험한 질병의 전조 증상일 수도

있다고 하니

비슷한 증상이 보인다면 지체하지 말고

바로 병원으로 가서

진찰을 받아보시는 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이전에 겪었던 경험도 있어서

이명, 어지러움증에 대해 

알아보다 보니

해당 증상이 주요 병증으로 나타나는

"메니에르병"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특징적으로 돌발성 어지러움과 

이명,

이충만감 등

여러 증상이 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 병은

150여년 전 Prosper Meniere라는 프랑스 의사가

처음으로 보고한 질환인데

아직까지 발병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고

내이를 둘러싸고 있는 내림프의 순환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메니에르 병은 어느 연령대에나

발병할 수 있지만, 

대개는 젊은 성인과 중년 성년 사이에서

발병하고

만성 질환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다양한 치료법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생활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메니에르 병에서 수반되는

어지러움증은

예고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보통 20분에서 수시간 동안 지속되지만

24시간 이상은 지속되지 않는다고 하고요.

어지러움증이 심하면

구역질이 날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 어지러움증이 발생하면

청력이 떨어지고,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청력이 회복되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메니에르 병의 징후나 증상이 있으면

지체하지 말고

즉시 의사에게 진찰을 받는 것이 필요하고요.

 

이 병은 

다른 질병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으니

가능한 한 빨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출처: m.jnuri.net >

또한

의사에게 증상에 대해

가능한 상세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

될 수 있기 때문에

 어지러움의 특성, 발생빈도 및 지속시간 등

가능한 상세히 기록하여 

진료 시에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니에르병의 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이상 면역 반응,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소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병의 증상 중

환자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증상은 

발작적인 어지러움이라고 하는데요.

이 때문에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이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구요.

영구적인 청력 손실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은

약물 치료,

중이강 내 약물주입,

수술적 치료등이 사용된다고 하네요.

 

 

메니에르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식단에서 염분 섭취를 줄이는 것

중요하다고 합니다. 

또한 

술, 커피, 담배 및 스트레스를 피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게 좋습니다.

 

결국

어느 병이든 마찬가지겠지만

평소 식습관을 건강하게 가져가고

카페인, 술, 담배

그리고 현대인들이 숙명적으로 

가지고 살수 밖에 없는 과도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피하고 관리하느냐가

병을 예방하는 지름길인 것 같습니다.

 

평소에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관리해야겠네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