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로
마스크를 쓰는 것이 일상화되어
버렸습니다. 코로나가 바꾼
일상의 여러 단면들중 하나일 텐데요
출근 시에도
사무실 간 이동시에도
마스크를 항상 착용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가족과 외출 시 등
밖에 나갈 때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실 것입니다.
보통 마스크가
필터 기준으로
KF94 나 80을 구매하여
많이들 사용하고 계실 텐데요.
문제는
이 마스크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
호흡하기도 불편하고
귀에 거는 줄의 텐션 때문에
머리도 아픈 것 같고..
실외 온도가 올라가면서
땀도 많이 나고..
착용 시
많이 불편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비말감염을
막기 위한 목적도 겸하면서
쓰기도 가벼운
덴탈마스크를 많이들 사용하시는
것 같아서 효과에 대해
한번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출처: 유한킴벌리>
<출처: 유한 킴벌리>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덴탈마스크를 착용하면
바이러스 방출 차단 효과가
적을수 있다고 합니다.
덴탈마스크의 낮은
차단 효과에 대해서는
마스크의 압착 정도가
아무래도 K94, 80 마스크보다는
강하지 않기 때문일 것인데요.
기침이나 발화 시
마스크가 뜨면서
가장자리 등에서 생긴 빈틈으로
바이러스가 새어나가기 때문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덴탈마스크 뿐만 아니라
가벼운 일회용 마스크, 천 마스크 등 도
마찬가지일 것 같습니다.
하지만
외부에서 비말이 유입되는 건
어느 정도 막는 효과는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비말 감염 차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쓰지 않는 것보다는
당연히 효과가 있겠습니다.
다만,
말씀드린 것처럼
K94, 80 마스크가 아닌 이상
꼼꼼히 마스크가 얼굴에 압착/밀착되도록
쓰는데 주의 및 신경을 써야겠습니다.
덴탈 마스크는
3중 구조로 되어 있고
표면이 방수 작용을 합니다.
감염자의
침방울이 묻더라도 내부로 스며들지 않아서
바이러스 감염 위험을 낮추어 줄 수 있구요.
마스크와 얼굴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틈이 생기는 점 만 주의한다면
일상생활에 있어서도 KF94, 80 마스크 대용으로
사용 시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마스크 자체가 오염원일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만진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 것이
권고되고 있으므로
귀찮더라도
이 부분도 실천하려고 노력해야겠습니다.
또한
마스크를 잡을 때는
마스크의 면보다 끈을 잡도록 해서
표면 오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점도
유의하면 좋겠네요.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더나 - 코로나 백신 개발에 대하여 (0) | 2020.05.20 |
---|---|
모더나 - 반가운 뉴스에 관하여 (0) | 2020.05.19 |
편리한 팁 - 스마트폰 사진 옮기기 , PC 로 쉽게 카피 (copy) 하기 (0) | 2020.05.17 |
건강 정보 - 손지압 건강법 (0) | 2020.05.16 |
English learner - EBS 모닝스페셜 ( 영어공부 ) (0) | 2020.05.11 |
댓글